아트앤멀티미디어음악학부는 건반음악전공, 보컬뮤직전공, 작곡전공 세 개의 전공분야로 되어있다
전화번호 | 031-330-6252 |
---|---|
팩스번호 | 031-330-6261 |
위치 | 자연캠퍼스 창조예술관 2층 2213호 |

학부소개
아트앤멀티미디어음악학부는 미래지향적 음악 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기반으로 다양한 음악적 성격(학술, 예술, 실용, 대중, 상업)을 토대로 한 내실 있는 교육을 지향한다.
건반음악전공, 보컬뮤직전공
현재 국내외 음악계에서 활발한 연주활동을 통하여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탄탄한 교수진을 확보하고 있으며, 최고의 시설을 갖춘 레슨실 및 연습실 등 학생들이 최상의 조건에서 공부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내실 있는 교육을 통해 궁극적으로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참신한 음악지도자, 국내외 음악계에 기여할 전문 연주인, 그리고 지역사회의 문화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음악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음악회를 개최하여 학생들의 견문을 넓힐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무대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작곡전공
미래지향적 음악 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기반으로 다양한 음악적 성격(학술, 예술, 실용, 대중, 상업)을 토대로 한 내실 있는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특히 최고의 첨단 음악 작업 시설 (연습실, 컴퓨터음악실, 녹음실)과 다양한 음악 교육 및 음악 산업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수진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개인 창작 아티스트 육성을 목표로 디지털음원제작 분야에도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교육목표
건반음악전공의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음악 장르의 통합적 이해 및 창의적 표현 능력 함양.
둘째, 개인 연주 역량과 협업 능력 배양.
셋째, 디지털 음악 기술의 활용 능력 강화.
넷째. 실제 음악 산업과의 연계 강화.
다섯째, 전인적 음악 교육을 통한 인성 및 전문성 배양.
보컬뮤직전공의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참신한 음악지도자를 기른다.
둘째, 국내외 음악계에 기여할 전문 연주인을 양성한다.
셋째, 사회의 음악 문화전반에 기여할 교양인을 기른다.
넷째. 지역사회의 문화육성에 기여할 사회인을 기른다.
아트앤멀티미디어작곡전공의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참신한 음악지도자를 기른다.
둘째, 다양한 음악을 창작할 수 있는 전문 작곡 및 편곡가를 양성한다.
셋째, 다양한 미디어에 적합한 개인 창작자를 양성한다.
넷째. 다양한 예술,문화 육성에 기여할 사회인을 양성한다.
연혁
2021. | 예술학부 작곡전공에서 예술학부 아트앤멀티미디어작곡전공으로 변경 |
---|---|
2018. | 음악학부, 영화·뮤지컬학부 통합 및 학부명칭 예술학부로 변경 |
2015. | 음악학부 작곡전공 입학정원 축소(입학정원 14명) |
2012. | 2013년 영화·뮤지컬학부 영화전공 입학정원 축소(입학정원 25명) |
2010. | 영화·뮤지컬학부 뮤지컬공연전공, 영화전공 입학정원 증원 (뮤지컬공연전공 40명, 영화전공 26명) |
2007. | 문화예술학부 학부명칭 영화·뮤지컬학부로 변경 |
2006. | 문화예술학부 전공명칭 뮤지컬공연전공, 영화전공으로 변경 |
2005. | 음악학부 작곡전공 입학정원 증원(입학정원 15명) 문화예술학부 공연예술전공, 영상콘텐츠전공 신설 (입학정원 공연예술전공 30명, 영상컨테츠전공 25명) |
2004. | 예술체육대학으로 편재 개편 |
1999. | 음악학과에서 음악학부로 확대 개편 및 작곡전공 신설 (입학정원 피아노전공 30명, 성악전공 30명, 작곡전공 10명) |
1991. | 예체능대학 음악학과 성악전공, 피아노전공 신설(입학정원 30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