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및 특성
교통문제가 국가 현안 문제화됨에 따라 국내 일부 대학의 토목공학과 등에 일부 과목으로 개설되었던 교통관련 학문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즉, 교통혼잡, 교통사고, 환경오염, 주차문제 등 우리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통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창의성 높은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 교통 발전에 기여하고자 스마트모빌리티공학전공을 설립하였다.
국가가 필요로 하는 교통전문인을 보다 체계적으로 교육시키기 위하여 1992년에 산업기술대학원의 1개 학과로 출발한 ‘교통대학원’을 국내 유일의 교통전문대학원으로 발전시켜 산·학·연이 필요로 하는 교통전문가 양성의 구심체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교통환경 및 기술환경에 부응하는 최적의 교통문제 해결방안을 개발 보급하기 위하여 ‘교통과학기술연구센터’를 설립, 국가 교통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다수의 졸업생들이 정부기관(건설교통부, 한국도로공사), 연구원(교통개발연구원, 시정개발연구원, 건설기술연구원, 국토개발연구원, 도로교통안전협회), 교통관련 설계 전문업체 등에서 근무하고 있다.
교육목표
전공실무
- Ⅰ-Ⅰ. 교통공학심화프로젝트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평가에 필요한 지식과 실무능력을 배양
사고 및 문제해결능력
- Ⅱ-Ⅰ. 교통문제의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
- Ⅱ-Ⅱ. 팀워크, 의사소통 능력 등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학습의지 및 진취성
- Ⅲ-Ⅰ. 평생학습과 자기개발 필요성에 대한 인식
- Ⅲ-Ⅱ. 세계, 미래로의 진취적 기상 고취
국제경쟁력
- Ⅳ-Ⅰ. 철도, 도로, 물류 등 교통관련 분야(컨설팅, 연구 등)의 국제적 경쟁속에서 성장/발전할 수 있는 경쟁력
- Ⅳ-Ⅱ. 동남아시아,중국,아프리카,중동 등 후발국가의 SOC관련 컨설팅 분야를 선점하기 위한 연구/기술개발 능력
연혁
2025.03. | 교통공학과에서 스마트인프라공학부 스마트모빌리티공학전공으로 명칭 변경 |
---|---|
2019.09. | 박호철 박사 취임 |
2013.03. | 박병정 박사 취임 |
2010.12. | 교통공학심화 프로그램 본 인증평가 통과 |
2010.12. | 교통공학심화 프로그램 본 인증평가 통과 |
2010.02. | 김현명 박사 취임 |
2006.09. | 김인태, 홍영석 박사 취임 |
2006.03. | 건설교통공학계열 교통공학과에서 교통공학과로 명칭 변경 |
2003.08. |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1회 졸업생 배출 |
2002.03. | SOC공학부 교통공학 전공에서 건설교통공학계열 교통공학과로 명칭 변경 |
1999.03. | 토목환경공학과와 합병하여 SOC공학부 신설 |
1997.03. |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
1997.02. |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1회 졸업생 배출 |
1996.09. | 이의은, 손영태 박사 취임 |
1995.02. |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신설 |
1994.03. | 금기정 박사 취임 |
1994.02. | 제1회 졸업생 배출(23명) |
1993.09. | 교통대학원 설립인가(정원30명) 학과정원 50명으로 증원 |
1992.03. | 김홍상, 조중래 박사 영입 |
1990.03. |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교통공학과 신설 (정원 40명) 초대 학과장 임성빈 교수 |
교과과정
이수학점
심화프로그램 적용대상 : 2027년 2월 이전 졸업자 중 심화 및 일반프로그램 이수자
전공 | 교양 | 전공 | 자유 선택 |
총 학점 | 적용 대상자 | ||||
---|---|---|---|---|---|---|---|---|---|
공통 | 핵심 | 학문기초 | 일반 | 소계 | |||||
스마트 모빌리티공학 |
15 | 12 | 33 | 0 | 60 | 70 | 4 | 134 | - 2015 ~ 2017학년도 입학생 |
일반과정 (비인증)* |
15 | 12 | 15 | 10 | 52 | 70 | 12 | 134 | |
스마트 모빌리티공학 |
17 | 12 | 33 | 0 | 62 | 70 | 2 | 134 | - 2018학년도 이후 입학생 |
일반과정 (비인증)* |
17 | 12 | 15 | 10 | 54 | 70 | 10 | 134 |
일반과정은 심화프로그램 포기자로 전산에 일반프로그램으로 지정된 학생
심화프로그램 비적용대상 : 2027년 8월 이후 졸업자
전공 | 교양 | 전공 | 자유 선택 |
총 학점 | 적용 대상자 | ||||
---|---|---|---|---|---|---|---|---|---|
공통 | 핵심 | 학문기초 | 일반 | 소계 | |||||
스마트 모빌리티공학 |
15 | 12 | 22 | 3 | 52 | 70 | 12 | 134 | - 2015 ~ 2017학년도 입학생 |
17 | 12 | 22 | 3 | 54 | 70 | 10 | 134 | - 2018학년도 이후 입학생 |
학문기초교양 이수학점 및 교과목
전공 | 학문기초교양 이수학점 |
필수 이수 교과목 | 적용대상자 |
---|---|---|---|
스마트 모빌리티공학 |
33 | 미적분학1(3), 미적분학2(3), 공학수학1(3), 통계학개론(3), 응용통계학(3), 물리학1(3), 물리학실험1(1), 물리학2(3), 물리학실험2(1), 일반화학실험(1), CAD개론(3), [일반화학 / 일반생물학] 중 택1 (3) [C언어 / C++Programming] 중 택1 (3) |
- 2027년 2월 졸업생까지 적용 [심화프로그램 이수자] |
22 | 미적분학1(3), 공학수학1(3), 응용통계학(3), 물리학1(3), 물리학실험1(1), CAD개론(3), 파이썬프로그래밍입문(3), [C언어 / C++Programming] 중 택1 (3) |
- 2027년 8월 졸업생부터 적용 |
일반프로그램 이수자: 학문기초교양 학점은 15학점
전공필수 이수학점 및 교과목
전공 | 전공필수 이수학점 |
필수 이수 교과목 | 적용대상자 |
---|---|---|---|
스마트 모빌리티공학 |
24 | 공학입문설계(3), 교통류이론(3), 교통계획(3), 교통시설공학(3), 교통시설공학설계(1), 교통운영관리Ⅰ(3), 도로공학(3), 도로설계(2), 프로젝트기반학습(3) |
- 2027년 2월 졸업생까지 적용 [심화프로그램 이수자] |
스마트시스템공과대학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유효기간은 2027.2.28.까지 유지 후 종료
- 2027년 2월 이전 졸업대상자 중 공학교육인증 이수자 이수학점 및 관련 교과목은 공학교육혁신센터로 문의